힙트래디션'.
유행에 밝다는 의미의 '힙(hip)'과 전통을 의미하는 '트래디션(tradition)'이 합쳐진 단어입니다.
전통문화를 젊은 층의 감성에 맞게 재해석해 즐기는 최근의 트렌드를 나타내는데요.
이런 현상을 잘 보여주는 것이 박물관의 굿즈(Goods·상품), 일명 '뮷즈(뮤지엄+굿즈)'의 인기입니다.
[여혜진/국립중앙박물관 관람객 : 예전에는 국립중앙박물관 이런 굿즈 같은 게 좀 옛날 느낌 이런 게 있었잖아요. 근데 요즘은 좀 트렌디한 것도 있고 요즘 젊은 사람들 취향에 맞는 게 많이 나오는 것 같아서 흥미롭게 보고 있어요.]
전통을 새롭게 해석하고 젊은 감성으로 받아들이고 즐기는 새로운 유행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https://naver.me/x3qIYPtH
ㅡ참고자료
나전칠기’라는 말은 칠기에서 나타내는 문양을 조개를 이용하여 장식하는 것을 말하며,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중국과 일본을 비롯한 동남아 등 여러 곳에서 제작되었다. 한국 · 중국 · 일본 등에서 공통으로 쓰이는 ‘나전’이란 말의 한자는 소라 ‘라(螺)’자와 보배로 꾸민 그릇 ‘전( 鈿)’자로 소라 껍데기를 활용해 장식한 기물을 뜻한다.
우리나라는 옛날부터 ‘자개’라는 별도의 고유어를 함께 써왔으므로 자개는 나전과 같은 말이다. 아름다운 진주 광택을 지닌 조개껍데기의 안쪽 패 면을 종잇장처럼 얇고, 판판하게 갈아 놓은 것을 말하기도 하고, 그것으로 무늬를 만들어 장식하는 기술 또는 기법으로 만들어진 공예품을 이르기도 한다.
한국의 나전은 통일신라 시대(676~936)부터 시작해 고려 시대(918-1392)에는 최고 수준의 기법에 이른다. 당시 고도의 제작 기법으로 경함 및 향함 등이 정교하게 제작되었는데, 가장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불교 경전을 보관하던 ‘고려 나전경함’이 있다.
현재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조형 문화로 평가받고 있는 고려 나전경함은, 미국을 비롯해 영국, 네덜란드, 일본 등의 주요 국립박관에 소장되어 있고, 그중 한 점만이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보물 제1975호로 지정되어 보관되고 있다.
임충휴 명장은 이 고려나전경함을 그대로 재현해서 현재 그의 전시실에 전시 중이다.
조선 시대에도 나전칠기는 왕실의 혼례 품이나, 양반층의 일상적인 사치품 또는 부장용 명기 등으로 제작되었으나, 18세기를 전후하여 상공업의 발전을 통해 새롭게 대두된 평민 부유층의 등장과 맞물리며 회화적인 문양과 서민적인 민화풍의 문양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십장생이나 천도복숭아, 학, 포도 넝쿨 같은 문양은 임충휴 명장의 작품에서도 주요 소재로 등장하고 있다.
힙트래디션 전통공예굿즈뮷즈
전통문화유산 #헤리티지
나전칠기목공diy체험
수학여행체험프로그램현장학습
나전칠기배우기
나전칠기학원
개항로맛집카페개항장핫플배다리헌책방공예공방
개항로임충휴갤러리아트페어
명장자개장나전칠기장롱엔틱가구
자개공예소품 옻칠벽화인테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