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 교수는 ‘성공한 미국 소도시의 공통점 11개’를 언급하며 “기본은 상업인프라를 공급해야 한다”라며 ‘BBC’를 언급했다. 서점(Book), 커피(Coffee), 베이커리(Bakery)가 구비돼야 한다는 뜻이다. 아울러, “한국에서는 골목상권이 없는 데를 노잼이라 한다. 청년들이 시간을 보내고, 놀고, 정주 여건만 공급하는 게 아니라 로컬(Local) 브랜드가 보이기 시작하면 산업 생태계 가능성이 보인다”라고 말했다.
게다가 ‘직주락(직장, 주거, 오락)’을 언급하며 15분 도시(도시의 모든 곳을 걸어서 15분)의 부상을 얘기했다. 삶의 질이 높은 도시는 직주락이 모여야 하므로, 가장 중요한 문제는 동네라는 뜻이다.
“상권을 생성해 꿀잼 도시를 만들어 일자리를 옮겨, 주택 공급과 함께 ‘직주락 센터’가 완성됐다. 한국에서 다른 방법으로 성공한 사례를 못 봤다”라며 “양양(서핑 문화, 죽도해변), 제주(보헤미안, 탑동)의 지역소멸 극복은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에서 시작된 경제활동을 로컬 문화로 만들고 이를 골목상권 중심의 로컬 브랜드 생태계로 육성했다”라고 설명했다.
마용성을 따라가는 타지역 모델로 ‘강릉, 제주, 전주’의 사례를 소개했다. 모 교수는 “다양하게 동네에 접근해야 한다. 산업단지, 관광단지를 조성해도 로컬 생태계의 잠재력을 활용하지 않으면 청년과 생활인구를 유치하기 어렵다. 인천이 원도심 중심으로 과감한 직주락 센터 사업을 하면 좋겠다”라고 전했다.
모 교수는 본지와 인터뷰에서 “청년들이 선호하는 홍대, 성수동과 같은 문화지구에서 일자리와 정주 여건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자는 뜻이다. 건축환경 보행환경 문화환경을 갖춘 곳에서 문화지구를 만들 수 있다”라며 “인천은 동인천 전체를 마용성(홍대, 이태원, 성수동)처럼 만들 그랜드 플랜(계획)을 수립하고 가동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놀거리 먹을거리 즐길거리 체험공간 개항로카페거리
커피,서점,베이커리,갤러리 미술관, 머물고 싶은 동네가 뜬다. 골목상권 로컬청년비지니스 동인천 개항로 전체를 홍대 성수동처럼 직주락 문화지구로!